<HBIZ_STORY1 : 이익 극대화 목표로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한다>
○ 이익 극대화 목표로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한다
○ 경영 목표는 대개 효율, 이익, 경쟁 우위 등으로 설명된다.
○ 이런 목표가 중요하긴 하지만 인간의 마음을 움직일 만한 힘을 갖고 있지 못하다.
○ 경영 리더들은 영혼을 울릴만한 이상과 명예, 진리, 사랑, 정의, 아름다움 등을 평범한 사업에 주입시키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 게리 하멜
<이어지는 글>
-부를 극대화한다는 목적은 인간의 에너지를 충분히 움직일 정도로 감정을 촉발시키지 못합니다.
- 직원들은 자신의 제품보다 더 큰 목적을 갖기를 원합니다.
- 목적은 삶을 사는데 필요한 활성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 목적이 훌륭하면 아무런 보상 없이도 적극적 동참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 목적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입니다.
<HBIZ_STORY2 : 위험이 클수록 성과와 기쁨도 크다>
○ 위험이 클수록 성과와 기쁨도 크다
○ 나를 믿어라.
○ 인생에서 최대의 성과와 기쁨을 수확하는 비결은 위험한 삶을 사는데 있다.
○ 위험하게 살아라.
○ 나를 죽이지 않는 것은 나를 더욱 강하게 만든다.
- 프리드리히 니체
<이어지는 글>
- 니체의 역경 예찬 글 모아보았습니다.
- ‘악천후나 폭풍을 겪지 않고는 큰 나무로 자랄 수 없다.
- 온갖 불행과 역경은 나약한 인간에게는 독이지만 강인한 사람에게는 위대한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자양분이다.
- 길이 험하면 험할수록 가슴이 뛴다.
- 그대의 운명이 평탄하기를 바라지 말고 가혹할 것을 바라라.’
<HBIZ_STORY3 : 리더는 누리는 자리가 아니라, 섬기고 봉사하는 자리다>
○ 리더는 누리는 자리가 아니라, 섬기고 봉사하는 자리다
○ 백성들이 무지해서 억울한 일을 당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하지 않도록 돕는 것이 왕의 역할이요.
농사짓는 사람들이 근심과 탄식이 없게 하는 것 또한 왕의 역할이다.
○ 왕을 보좌하는 신하는 백성을 위해, 후대를 위해 열심히 공부하고 성과를 내야 한다.
- 세종대왕
<이어지는 글>
- 리더의 자리는 결코 누리는 자리가 아닙니다.
- 조직의 사명과 비전 달성을 위해 헌신하고, 부하 직원들을 섬기고 봉사하는 자리입니다.
- 아랫 사람들을 섬기고 봉사하는 서번트 리더십의 원전을 세종대왕에게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HBIZ_STORY4 : 파괴와 폐허가 새로운 창조의 씨앗이 된다>
○ 파괴와 폐허가 새로운 창조의 씨앗이 된다
○ 폐허는 복원이나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을 유혹한다.
○ 갱신되고 개혁되기 전에 죽음과 거부의 시간이 있어야 한다.
○ 풍경이 거듭나기 위해서는 구(舊) 질서가 죽어야 한다.
- 미국 조경학자 존 B. 존슨
<이어지는 글>
- 낡은 것이 파괴되고 기존의 것이 도태되어야 새로운 것이 창조됩니다.
- 죽지 않으면 부활할 수 없습니다. 죽음은 부활의 전제 조건입니다.
- 부활은 과거의 반복과 재현이 아닌 새로운 창조입니다.
- (김유열, ‘딜리트’에서 인용)
<HBIZ_STORY5 : 칭찬을 많이 받을수록 성과가 올라가고 이직율은 감소한다>
○ 칭찬을 많이 받을수록 성과가 올라가고 이직율은 감소한다
○ 경제적 보상은 직원의 소속감이나 이직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반면 칭찬의 횟수는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 한 직원이 한 분기에 세 차례 이상 칭찬을 받을 때 다음 평가에서 그들의 성과 평가가 크게 상승했다.
○ 그리고 한 분기에 네 번 이상 칭찬과 인정을 받을 때 그 직원이 1년 후 같은 직장에 머물 가능성은 96%로 늘어났다.
- 크리스티나 홀
<이어지는 글>
- 분기 당 한두번 칭찬 받을 때의 성과와 이직율은 그 전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 그러나 세 번 혹은 네 번 받게 되면 놀랍게도 성과가 크게 올라가고 이직율은 현저히 떨어진다 합니다.
- 네 번 이상 칭찬을 받는 직원은 동료에게 베푸는 칭찬 횟수가 두 배로 늘어났다고 합니다.
- 사람들은 네 번 이상 칭찬 받을 때 칭찬 생산자가 됩니다.
이상으로 경영 및 인사 관련_이익 극대화 목표로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한다, 위험이 클수록 성과와 기쁨도 크다, 리더는 누리는 자리가 아니라, 섬기고 봉사하는 자리다, 파괴와 폐허가 새로운 창조의 씨앗이 된다, 칭찬을 많이 받을수록 성과가 올라가고 이직율은 감소한다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본 글들은 사단법인 행복한 성공, 행복한 경영이야기의 내용을 5편 내외를 묶어서 공유하기 위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