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IZ_STORY1 : 통제하고 싶다면 통제권을 내어주라>
○ 통제하고 싶다면 통제권을 내어주라
○ 자신의 권한이 제거됐다고 인지할 때 사람들은 저항하는 성향을 보인다.
○ 반대로 자신의 권한이 확장되고 있다고 인지하면 사람들은 그 경험을 수용하고 보람을 느낀다.
○ 역설적이게도 통제권을 내주는 것은 강력한 영향력 행사의 도구다.
○ 통제권을 제공하는 것,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게 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사람들의 행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이다.
- 탈리 샤롯, ‘최강의 영향력’에서
<이어지는 글>
- 이케아 효과(IKEA effect) 들어보셨나요?
- 이케아 효과란 다른 누군가가 만들어 준 것보다 자신이 직접 만든 것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 통제권의 가치가 자신이 만든 물건에 투영돼 그 물건을 더욱 좋아 보이게 만드는 것입니다.
- 사람들은 선택하기를 좋아합니다. 선택을 보상 그 자체로 인식합니다.
- 통제권을 내어줄수록 나의 영향력은 더 커집니다.
<HBIZ_STORY2 : 돈과 기회가 많을 때 가장 쉽게 실수를 저지른다>
○ 돈과 기회가 많을 때 가장 쉽게 실수를 저지른다
○ 기업은 돈이 많을 때, 기회가 너무 많을 때 가장 쉽게 실수를 저지른다.
○ CEO는 기회를 찾을 필요가 없다. 기회는 어디에나 있기 때문이다.
○ CEO는 위기를 잘 찾아야 한다.
○ 위기는 커지기 전에 싹을 잘라야 하기 때문이다.
- 마윈, 알리바바 창업 회장
<이어지는 글>
- 마윈의 관련 어록 함께 보내드립니다.
- ‘내가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첫째, 나는 가진 돈이 없었다. 둘째. 나는 인터넷의 ‘ㅇ’ 자도 몰랐다. 셋째, 나는 바보처럼 생각했다.’ ‘남들이 당신을 영웅이라고 말해도 스스로는 그렇게 생각하지 마라. 스스로 내가 영웅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곧 망한다.’
<HBIZ_STORY3 : 스트레스가 유용하다고 생각하면 실제로 그렇게 된다>
○ 스트레스가 유용하다고 생각하면 실제로 그렇게 된다
○ 스트레스 반응은 우리에게 닥친 어떤 도전에도 맞설 수 있게 대비시킨다.
○ 스트레스는 우리에게 평소보다 뛰어난 신체 능력을 선사한다.
○ 스트레스는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하게 만든다.
○ 스트레스를 받을 때 생기는 에너지는 우리의 몸이 행동을 취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뇌를 가동시키는 데에도 유용하다.
○ 스트레스는 동기와 의욕을 불러일으킨다.
- 켈리 맥고니걸, ‘스트레스의 힘’에서
<이어지는 글>
- 스트레스 반응은 정신적, 육체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결과적으로 자신감이 향상되고 집중력이 좋아지며 최고의 성과가 나오도록 돕습니다.
- 목표가 위태로워지면 스트레스를 느끼고 그에 맞는 조치를 취하게 됩니다.
- 스트레스는 더 이상 두려워해야 할 존재가 아닙니다.
<HBIZ_STORY4 : ‘문제를 가져오려거든 해결책도 가져오라’라고 말하지 말라>
○ ‘문제를 가져오려거든 해결책도 가져오라’라고 말하지 말라
○ 건강한 기업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해결책을 찾도록 문제를 공개하는 사람들을 처벌하지 않고 포상하는 문화를 형성하라.
○ 그러자면 먼저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을 방해하는 잘못된 격언들을 경계해야 한다.
○ 그중 대표적인 것이 ‘문제를 가져오려거든 해결책도 가져오라’는 구닥다리 경영 규범이다.
- 벤 호로위츠, ‘하드씽’에서
<이어지는 글>
- 저 부터 반성합니다.
- 흔히들 냉소주의를 막겠다는 취지로 ‘문제점만 이야기 하지 말고 해결책까지 같이 가져오라’고 말합니다.
- 결과적으로 치명적 문제들이 수면 하에 잠복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 bad news를 편안하게 공개적으로 이야기 할 수 있도록 적극 장려해야 건강한 조직 문화가 자라납니다.
<HBIZ_STORY5 : 나는 돈을 벌기 위해 영화를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 나는 돈을 벌기 위해 영화를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 나는 영화를 만들기 위해 돈을 법니다.
- 월트 디즈니
<이어지는 글>
- ‘의약품이란 환자를 위한 것이지 결코 이윤을 위한 것이 아니다.
- 이윤이란 부수적인 것에 불과하다.
- 그리고 이 사실을 망각하지 않는 한 이윤은 저절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 이것이 머크의 경영 이념이다.’
- 조지 윌리암 머크 회장 이야기입니다.
- 남을 먼저 이롭게 하겠다는 자리이타(自利利他) 철학으로 무장한 기업가들이 많이 나오길 기대합니다.
이상으로 경영 및 인사 관련_통제하고 싶다면 통제권을 내어주라, 돈과 기회가 많을 때 가장 쉽게 실수를 저지른다, 스트레스가 유용하다고 생각하면 실제로 그렇게 된다, ‘문제를 가져오려거든 해결책도 가져오라’라고 말하지 말라, 나는 돈을 벌기 위해 영화를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본 글들은 사단법인 행복한 성공, 행복한 경영이야기의 내용을 5편 내외를 묶어서 공유하기 위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