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IZ_STORY1 : 남과 다른 나를 사랑하라>
○ 남과 다른 나를 사랑하라
○ 현재의 자기와 이웃의 처지를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한 짓이다.
○ 비교는 마침내 자기 몫의 삶마저 스스로 물리쳐 버리는 거나 마찬가지의 불행을 가져온다.
○ 각기 삶의 조건과 양식이 다른데 어째서 남과 비교하려 하는가.
○ 비교는 좌절감을 가져오고, 시기심을 불러일으킨다.
○ 부질없는 비교는 배움을 저해하고, 두려움만을 키운다.
- 법정 스님
<이어지는 글>
-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 “사람은 저마다 이 세상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독창적인 존재다.
- 사람마다의 조건이 다르고 삶의 양식이 다르며, 그릇이 다르다.
- 자신의 빛깔을 지니고 진정으로 자기 자신 답게 살아가는 사람은 무엇보다도 먼저 자신의 삶을 남과 비교하지 말아야 한다.”
<HBIZ_STORY2 : 시련을 대하는 태도가 성공과 실패를 가른다>
○ 시련을 대하는 태도가 성공과 실패를 가른다
○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을 하나 꼽으라면 삶의 시련을 대하는 태도가 다르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그들은 ‘왜 내게 이런 일이 닥쳤을까?’라며 절망에 빠지기 보다는 ‘이 사건에서 얻어야 할 교훈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하는 사람들이다.
○ 그들은 삶의 시련이 닥치면 마냥 힘들어하기 보다는 높은 봉우리를 향해 가는 하나의 여정이라고 생각한다.
- 이정일, ‘오래된 비밀’에서
<이어지는 글>
- 행운은 위대한 스승입니다. 불운은 더욱 위대한 스승입니다.
- 재앙에는 복이 깃들어 있고, 복은 재앙의 은신처입니다.
- 고난은 우리를 부숨과 동시에 우리를 단련시킵니다.
- 성공하는 사람들은 삶의 고통에 집착하지 않고 그 고통이 주는 교훈에 눈을 돌립니다.
<HBIZ_STORY3 : 파괴하라 그리고 창조하라>
○ 파괴하라 그리고 창조하라
○ 일을 파괴할 용기가 없으면 대규모 일의 창조는 있을 수 없다.
○ 이것이 내가 창조에 미친 이유이다.
○ 창조를 통해 파괴하라.
○ 그렇지 않으면 도태될 것이다.
- 톰 피터스
<이어지는 글>
-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새의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한 세계를 파괴해야만 한다.’고 말합니다.
- 창조를 원하는 자는 기존 질서를 깨야 합니다.
- 그러나 그 파괴는 창조를 위한 파괴여야 합니다.
<HBIZ_STORY4 :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 행복은 깊이 느끼고 단순하게 즐기고, 자유롭게 사고하고, 삶에 도전하고, 남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는 능력에서 나온다.
○ (Happiness comes of the capacity to feel deeply, to enjoy simply, to think freely, to risk life, to be need)
- 스톰 제임슨
<이어지는 글>
- 파블로 피카소의 좋은 글 함께 보내드립니다.
- “삶의 의미는 자신의 재능을 찾는 것에 있다. 사람의 목적은 그 재능을 세상에 선물로 주는 것이다.”
<HBIZ_STORY5 : 행복은 과대평가 되었다>
○ 행복은 과대평가 되었다.
○ 사람들이 약간의 불행을 느끼지 않는다면 어떤 재화나 가치도 만들어지지 않는다.
○ 불행은 사람들이 현재 상황을 바꾸어야 할 동기를 부여한다.
○ 예술, 사회, 과학 문명을 대표하는 걸작들은 모두 불행한 사람들이 스스로의 불행을 치유하면서 이루어낸 성취의 산물이다.
- 토마스 차모르, ‘인재 망상’에서
<이어지는 글>
- 불행을 느끼는 사람들은 뭔가를 바꿔보기 위해 노력하게 됩니다.
- 반면 행복한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현실에 안주하기가 쉽습니다.
- 행복과 불행 그 자체가 절대선, 혹은 절대악이라 말할 수 없습니다.
- 행복과 불행은 중첩되어 있습니다.
- 행복 속에서 불행의 씨앗이 자라고, 불행 속에서 행복을 향한 꿈이 자랍니다.
이상으로 경영 및 인사 관련_남과 다른 나를 사랑하라,시련을 대하는 태도가 성공과 실패를 가른다,파괴하라 그리고 창조하라,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행복은 과대평가 되었다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본 글들은 사단법인 행복한 성공, 행복한 경영이야기의 내용을 5편 내외를 묶어서 공유하기 위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