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IZ_STORY1 : 일과 삶을 구분하지 않고 둘 다를 즐기며 살아가기>
○ 일과 삶을 구분하지 않고 둘 다를 즐기며 살아가기
○ 인생이라는 예술의 달인은 자신의 작업과 놀이, 노동과 쉼, 마음과 몸, 배움과 레크레이션 등을 굳이 구분하려 하지 않는다.
○ 그것들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려 하지도 않는다.
○ 무엇을 하고 있든 그저 최선을 다할 따름이다.
○ 늘 그 둘을 같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프랑수아 오귀스뜨 르네 사또브리앙
<이어지는 글>
- “‘일과 개인 삶의 균형’, 이 말은 아마 전문성과 창의력을 가진 직원에게는 모욕이 될지도 모른다.”
-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의 말입니다.
- 일이란 바로 삶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 통제 대신 책임과 자유가 주어질 때 사람들은 일과 삶을 구분하지 않고 즐기며 살아가게 됩니다.
<HBIZ_STORY2 : 좌절감은 탁월함을 향해가고 있다는 징표다>
○ 좌절감은 탁월함을 향해가고 있다는 징표다
○ 눈에 보이는 발전이 없을 때 나타나는 좌절감은 탁월함을 향해 나가는 과정에서 필수불가결한 일입니다.
○ 좌절감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은 아무것도 배우지 못하니까요.
○ 탁월함은 좌절감에 대처하는 방법을 찾아낸 사람들이 가는 길입니다.
○ 그러니 괴로워할 일이 아닙니다.
○ 제대로 된 길을 가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좋은 기회입니다.
- 크리스토퍼 소머 (미국 체조 국가대표팀 코치)
<이어지는 글>
- 탁월함을 추구하는 게 쉽다면 누구나 할 수 있을 겁니다.
- 탁월함의 길이 곧장 뻗은 직선일 리 없습니다.
- 우리가 실패하는 건 좌절감 때문이 아니라 조급함 때문입니다.
- 조급해 하지 말고, 좌절감을 디딤돌 삼아 천천히 걸어가면 언젠가는 탁월함의 경지에 오르게 됩니다.
<HBIZ_STORY3 : 타인을 비난하지 말라>
○ 타인을 비난하지 말라
○ 타인을 공격할 때 마다 우리는 한 명 한 명 내 목숨을 구해 줄 수도 있는 귀한 사람들을 잃는다.
○ 세상에 그것보다 더 큰 상처나 실패는 없다.
○ 낯선 사람을 따뜻하게 맞이하라.
○ 그는 변장을 한 채 당신을 찾아온 천사일지도 모르니까 말이다.
- 제인 맥고니걸 박사
<이어지는 글>
- 타인을 비난하는 것은 중독되기 쉬운 가장 나쁜 습관 중 하나입니다.
- 내가 내뱉은 말은 타인에게 상처를 주는 데서 그치지 않고 상대를 비난하는 순간, 내 마음에도 큰 상처를 남깁니다.
<HBIZ_STORY4 : 행복은 거절의 기술이다>
○ 행복은 거절의 기술이다
○ 간단하다.
○ 원치 않는 부름에 응답하지 않는 것, 그것이 행복의 본질이다.
○ 모든 사람에게 답변하지 않는다고 해서 죄책감을 느낄 필요는 없다.
○ 오히려 시간을 낭비하기 보다는 죄책감을 갖는 게 더 낫다.
○ 그냥 좀 미안해 해라.
○ 우리가 끊임없이 뭔가를 거절해야 하는 이유는 그래야만 우리의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마리아 포포바 (브레인 피킹스 편집장)
<이어지는 글>
- 세계적인 신경학자이자 작가인 올리버 섹스는 책상 위쪽 벽에 ‘NO’라고 적힌 종이를 붙여놓았습니다.
- 글 쓰는 시간을 빼앗는 제안을 거절해야 한다는 사실을 떠올리기 위해서라 합니다.
- 행복을 위해서도 성공을 위해서도 선택과 집중은 필수입니다.
- 집중을 위해선 거절이 필수입니다.
<HBIZ_STORY5 : 꿈보다 목표가 중요하다>
○ 꿈보다 목표가 중요하다
○ 꿈은 일어나지 않을지도 모르는 일을 그냥 상상하는 것이다.
○ 하지만 목표는 그걸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열심히 노력해 마침내 이루는 것이다.
○ 내게 성공의 본보기가 되어 주는 사람들은 모두 조직적인 목표를 갖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탁월한 계획을 세운 사람들이다.
- 전설의 복서 에반더 홀리필드의 코치
<이어지는 글>
- 당연히 꿈이 중요합니다.
- 그러나 꿈만으로는 아무것도 이뤄지지 않습니다.
- 꿈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 그리고 그 계획을 꾸준하게 실천해 갈 때만이 꿈은 조금씩 조금씩 현실이 되어 갑니다.
이상으로 경영 및 인사 관련_일과 삶을 구분하지 않고 둘 다를 즐기며 살아가기, 좌절감은 탁월함을 향해가고 있다는 징표다, 타인을 비난하지 말라, 행복은 거절의 기술이다, 꿈보다 목표가 중요하다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본 글들은 사단법인 행복한 성공, 행복한 경영이야기의 내용을 5편 내외를 묶어서 공유하기 위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